-
KODEX 200 VS KODEX 레버리지Python/파이썬과 주식, 코인 2021. 6. 24. 11:38반응형
간단히 결론만 보자면...
KODEX 레버리지가 상장된 2010년 2월 22일 시가를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2배 맞아?'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엉망이죠?
코덱스 200보다 낮은 구간이 더 깁니다.레버리지는 단기 투자에 적당하고,
장기에서는 상당히 불리한 구조의 상품인 것이죠.이 이유는 다음 기사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상품 구조'와 '복리효과' 때문입니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112326625740056&mediaCodeNo=257
주가 뛰면 2배로 먹는다더니…ETF 레버리지 수익률 '미스터리'
지난달 10일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이 모니터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데일리 박종오 기자] ‘상장지수펀드(ETF) 레버리지’라는 금융 투자 상품에 돈을 넣은 투자
www.edaily.co.kr
코드는 간단합니다.
# https://comdoc.tistory.com/entry/KODEX-200-VS-KODEX-레버리지?category=819898 # KODEX 200 VS KODEX 레버리지 import FinanceDataReader as fdr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def load_data(code, start_date): data = fdr.DataReader(code, start_date) return data['Close'] # 종가만 남김. 레버리지 = load_data('122630', '2010-02-22') 코덱스200 = load_data('069500', '2010-02-22') plt.rc('font', family='Malgun Gothic') plt.plot(레버리지.index, 레버리지 / 레버리지.iloc[0], label='KODEX 레버리지', color='r') plt.plot(코덱스200.index, 코덱스200 / 코덱스200.iloc[0], label='KODEX 200', color='b') plt.legend(loc='upper left') plt.show()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