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편포도(skewness)초간단 통계 2022. 12. 6. 23:15반응형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B%8C%80%EC%B9%AD%EB%8F%84
비대칭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대칭도 실험 자료의 예 확률 이론 및 통계학에서 비대칭도(非對稱度, skewness) 또는 왜도(歪度)는 실수 값 확률 변수의 확률 분포 비대칭성을 나타내는 지표이
ko.wikipedia.org
정규 분포 비스무리한데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것이 소득 분포..
이를 편포도 또는 왜도라고 하며,
소득 분포처럼 오른쪽에 긴 꼬리를 갖는 오른쪽 꼬리 분포를,
우측(right), 정적, 양적(positive) 편포(왜도)라 부른다.반대라면
좌측(left), 부적, 음적(negative) 편포(왜도)소득 분포는 왜 우측 편포를 가지는 것일까?
소득이 낮은 쪽은 0이라는 한계가 있는 반면, 높은 사람들은 끝이 없다.
빌 게이츠나 미국 IT 기업의 거부들을 생각해 보라.이런 엄청난 부자들이 이상치(극단값, Outlier)를 만들기 때문에..
오른쪽의 꼬리가 생기는 것이고
우측, 정적, 양적 편포라고 하는 것이다.소득 분포를 로그 스케일로 보면 어떨까?
정규 분포에 가까워진다고 한다.종도(kurtosis): 첨도
같은 분포내의 점수들이 집중경향(예: 평균)에 얼마나 많이 몰려 있느냐의 정도
즉 분포의 뾰족함 혹은 완만함을 나타낸다.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