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자료구조의 분류Python/파이썬 자료구조 알고리듬 2019. 5. 28. 11:37반응형
매일 하나씩, 40일 완성
파이썬 자료구조 & 알고리즘
1. 자료구조의 분류
- 단순구조 : 기본적인 자료형
- 정수
- 실수
- 문자
- 문자열
- 선형구조 : 자료들간 앞 뒤 연결 관계가 1:1을 가져 선형 관계라고 함.
- 순차리스트 :
배열, 자료가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저장됨. - 연결리스트 :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지 않음. 단위: 노드 (= 데이터 + 다음 노드를 가르키는 참조값)- 단순 연결 리스트
- 이중 연결 리스트 : 앞 뒤 모두의 참조값 저장.
- 원형 연결 리스트 : 마지막 노드가 첫번째 노드를 가르킴.
- 스택 stack : 후입 선출 Last in First out
- 큐 Queue : 선입 선출
- 덱 Deque : 양방향 인 아웃 가능, 스택 + 큐
- 순차리스트 :
- 비선형구조 : 자료들 간의 앞 뒤 연결 관계가 '1:다(多)', 또는 '다:다'
- 트리 : 부모 + n 개의 자식 노드.
- 일반 트리
- 이진 트리 : 자식 노드가 최대 2개
- 힙(Heap) : 부모가 자식 보다 항상 크거나, 항상 작은 이진 트리.
- 그래프 : 순환 구조를 가짐.
- 방향 그래프
- 무방향 그래프
- 트리 : 부모 + n 개의 자식 노드.
- 파일구조
- 순차 파일
- 색인 파일
- 직접 파일
위키 백과에도 나오는 것이지만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A3%8C_%EA%B5%AC%EC%A1%B0
자료 구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료구조(資料構造, 영어: data structure)는 컴퓨터 과학에서 효율적인 접근 및 수정을 가능케 하는 자료의 조직, 관리, 저장을 의미한다.[1][2][3] 더 정확히 말해, 자료 구조는 데이터 값의 모임, 또 데이터 간의 관계, 그리고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함수나 명령를 의미한다.[4] 신중히 선택한 자료구조는 보다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자료구조의 선택문제는 대개 추상 자료형의
ko.wikipedia.org
반응형 - 단순구조 : 기본적인 자료형